문광스님! 항상 저희에게 때로는 우뢰와같은, 때로는 감로와 같은 법문으로
법화경을 설하여주시며 불교에대하여 불교와 관련된것에 관하여
알려주시고 일깨워주심을 진심을 다하여 감사드립니다
2004년 1월11일 월정사를 처음 방문하여 팔각구층석탑과 적광전을 보았을때는
아무 뜻도 몰랐습니다
팔각구층석탑 앞에 공양하는 보살상도 없었습니다.
그 당시에도 훼손이 심하여 박물관에 보관하였던 것 같습니다
2004년 1월 11일 사진
----------------------------------------------------------------------
지난 2010년 2월 21일 선자령을 등산하고선 다시 월정사를 찾았습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앞에 공양하는 보살상이 복원되어 있었습니다
2010년 2월21일 사진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안내판이지만
탑의 모양과 연대에 관한 자세한 설명만 있을 뿐
문광스님이 설하여주신 ..
이 탑이 법화경의 일월정명덕부처님의 사리탑을 형상화하였다는 설명은 없습니다
끝 구절에 강릉 신복사터의 석탑과 마찬가지로 공양하는 보살좌상을 모셔놓았다라는 구절만 있습니다
적광전 안내판입니다
원래 이 자리에 과거7불을 보신 칠불보전이 자리하고 있었으나 6.25때 소실된 것을
1968년 만화스님이 중건하였다
적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것이 통례이지만 여기서는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있다
이는 1964년 만화스님 법당 중창 당시에는 현판이 대웅전이었으나
1950년대 화엄경에 조예가 깊었던 탄허스님의 오대산 수도원을 기념하기 위해
화엄경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모신다는 의미로
현판을 적광전으로 고쳐달았기 때문이다
적광전 현판과 주련의 글씨는 탄허스님의 친필이다
저녁예불을 시작할때쯤의 월정사 경내의 모습입니다
저녁예불을 끝내고 기도도 끝내고 월정사 경내에는
한 줄기 조명으로 팔각구층석탑과 공양올리는 보살상이 더욱 돋보입니다
-------------------------------------------------------------
2010년 5월2일 수원 화성의 용주사를 들렀다가
다시 수원의 봉녕사(비구니 수행도량)을 들렀습니다
2010년 5월 2일 수원 봉녕사
일주문을 지나 경내로 들어가면 왼쪽에 범종루
그리고 가운데 대웅보전이 위치하며
대웅보전의 입구 큰 길 양쪽으로 왼쪽에 석가탑 오른쪽에 다보탑을 모셨습니다
왼쪽의 석가탑 앞에 공양 올리는 보살상이 모셔져있습니다
2010년 5월2일 수원 봉녕사
석가탑에 공양올리는 보살상
경주 불국사 다보탑을 재현하여 모셔놓은 봉녕사 다보탑
봉녕사의 공양올리는 보살상입니다
---------------------------------------------------
월정사와 봉녕사의 일체중생희견보살(약왕보살) 상 비교
월정사의 복원된 보살상입니다.
2010년 10월 31일 문광스님께서 올리신 사진입니다
아래 애초에 있었던 보물제 139호로 지정된 보살살과는 많이 다릅니다
1. 일체중생희견보살은 일월정명덕여래가 열반에 드신후 조성된 그 사리탑에 다시 두 팔을 태워
공양올리는 소비공양을 하고 계십니다
2. 소비공양을 올리는 일체중생희견보살상이 좌대에 앉아 무릅을 꿇은 이상한 형상입니다
좌대가 아니라 원본의 보살상에서 표현한 대로 좌복정도여야 맞을 것 같다고 설명하여 주셨습니다
3. 무릎 꿇은 모양새도 많이 생략되어 뭉특하게 표현되어 사실감이 떨어진다
4. 보살상의 시선도 팔각 구층석탑에 맞게 정면이 아니라 그윽하게 치어다 보고 계셔야 할 것 같습니다
5. 소비공양을 올리는 팔을 바치는 오른팔 아래 있는 팔걸이가 복원된 보살상에는 아예 없습니다
월정사 약왕보살상(석조보살좌상-보물제 139호)
봉녕사의 공양올리는 보살좌상입니다
석가탑에 공양올리는 보살상을 조성한 것이 법화경의 내용을 잘 표현한 것인지는 알 길없으나
복원된 보살좌상은 무릅꿇은 모양이나 높은 좌대가 아니라 낮은 좌대를 사용한 점이나
그윽하게 탑을 치어다 보고 있는 시선이 월정사의 복원된 보살좌상보다는
좀 더 충실한 듯 하여 보입니다
2010년 2월 21일 월정사 공양간에 걸린 옛 월정사 사진
언제적 사진인지는 알 수 없었으나 최소한 공양올리는 보살상이 지금 처럼 복원되기전인
예전 보물인 보살좌상이 있을때 사진으로 보입니다
다만 팔각구층석탑 뒤에 있는 건물이 지금 복원된 적광전이 아닌 것으로 보여
그 시기를 짐작하는데 다소 혼란스러워보이네요
폐허속의 월정사를 힘겹게 불사를 일으켜 오늘날의 월정사가 있게 하신 수많은 스님과
불자님의 원력에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복원불사를 함에 있어서도 부처님의 법화도량의 그 깊은 뜻을 새겨
좀 더 충실히 복원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은
우리 모두가 잘 새기고 반성하여야 할 부분입니다.
--------------------------------------------------------
보너스 사진
2004년 1월 11일 촬영 월정사 전나무 숲에서
'불교 > 불교관련 -관오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의 명칭 - 행정적인 명칭과 불교적인 명칭 (0) | 2015.03.25 |
---|---|
불유각(佛乳閣) 송자관음(送子觀音) (0) | 2015.01.08 |
화엄경의 계위와 십층탑 심삼층탑 (0) | 2013.04.09 |
보광전의 부처님들 - 상주 남장사 , 남해 보리암 , 경주 분황사, 해인사 원당암,지리산 실상사 (0) | 2013.04.08 |
영화 매트릭스의 불교적관점 고찰 - 관오 (0) | 201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