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광전의 부처님들 - 상주 남장사 , 남해 보리암 , 경주 분황사, 해인사 원당암 , 지리산 실상사
보광명지(普光明智)는 화엄경에서 설하는 일체종지로 중중무진한 우주법계, 연화장
온 세상에 걸림없이 두루두루 다 비추어내는 광명 같은 지혜를 일컫는 말로 근본지혜를 말한다
보광명전(普光明殿)은 화엄경의 근본진리인 보광명지(普光明智)를 뜻하는 전각으로 줄여서
보광전(普光殿) 이라 한다
보광전에는 법신을 모시나 화신이나 보신이 깨달음을 얻어서 “법신”으로 광명설법을 할 수 있기에
어떤 부처님을 모셔도 된다. 적광전이나 대적광전에 법신인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시는 경우와는
뜻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보광전에 어떤 부처님이 계시는지는 전각안에 들어가 보아야 알수있다
보광전에는 어떤 부처님도 모실 수 있기에 전각이 많은 절에서는 대웅전을 모시고 관세음보살을 관음전이나 원통전등 다른 전각에 모시지만 예를 들어 남해 보리암의 경우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시면서 전각을 하나의 전각이름인 관음전이나 원통전이라 하지않고 주전의 이름인 ‘보광전’이라 칭하여 사격을 높이는 경우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상주 남장사 보광전에는 비로자나부처님, 남해 보리암의 보광전에는 관세음보살님,
경주 분황사 보광전에는 약사여래부처님, 해인사 원당암과 지리산 실상사 보광전에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시고 있다
2013년 4월 6일 문광스님의 화엄학 강의중에서
********************************************************************************************
1. 상주 남장사(南長寺) 보광전
830년(흥덕왕 5) 당나라에서 귀국한 진감국사가 개창하여 최초로 머문 사찰로 당시의 절 이름은
장백사(長栢寺)였다. 1186년(고려 명종16) 각원화상이 장백사를 남장사로 개칭하면서 중창하였다
상주 남장사 보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을 모셨다(고려 철조비로자나불상 보물 990호)
진감국사는 중국 종남산에서 범패를 배워 830년인 57세때 귀국하여 장백사에 머물면서 832년에는
무량전(현, 보광전)을 창건하고 범패(불교음악,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한 노래)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보급한 곳이다.
당시 의원에 환자가 모이듯이 구름같이 많이 모였다 하며, 이 범패는 판소리, 가곡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성악곡중의 하나이다.
주요 유물로, 상주 남장사 철불 좌상(고려 철조비로자나불상 보물 990호)과
목각탱 (보물 922호) 등의 불교 예술의 걸작품을 보존하고 있으며,
일주문은 지방문화재자료 442호(2003)로 지정되어 있어, 불교 예술의 보고라 일컬을만 하다.
** 보통은 종이나 천에 탱화를 그리나 후불탱화를 목각으로 조각한 것을 목각탱이라고 한다
2007년 11월 11일 상주 남장사 순례시 사진입니다
************************************************************************************************
2. 남해 보리암 보광전
남해 보리암의 주전인 보광전
보리암의 보광전에는 관세음보살을 모셨다
2009년 8월 15일 보리암 방문시 사진입니다
***********************************************************************************************
3. 경주 분황사
분황사 모전석탑
2011년 2월 26일 법화경강의 종강무렵 문광스님을 모시고 경주로 떠난 성지순례에서
분황사에 대하여 설명하여 주시는 문광스님
분황사 보광전
분황사 보광전
분황사 보광전에는 약사여래입상을 모셨다
분황사 보광전에 모셔진 원효대사 진영
석정과 분황사 탑에 대하여 설명하여 주시는 문광스님
2011년 2월 26일 경주순례시 사진입니다
***********************************************************************************************
4. 해인사 원당암
원당암 보광전
보광전
원당암 보광전에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셨다
원당암 보광전 앞의 다층석탑 보물 518호 석등
원당암
혜암스님께서 공부하셨던 미소굴
원당암 전경
2011년 6월 6일 원당암 순례시 찍은 사진들입니다
************************************************************************************************
5. 지리산 실상사(實相寺)
실상사 경내
실상사는 신라 흥덕왕 3년인 828년에 증각대사가 세운 신라 선종의 9산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대규모 사찰이다.
천왕봉을 바라보며 지리산 여러 봉우리를 꽃잎으로 삼은 연밥에 해당하는 곳에 들어선 실상사는
여느 지리산 자락의 산사와는 달리 평지에 들어선 전형적인 1금당 쌍탑의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다
실상사 보광전
대웅전인 보광전은 넓은 금당터 기단 위에 또 하나의 작은 기단을 만들어 세운 작은 건물이다.
보광전 안에는 홍척 수철 두스님의 영정과 범종이 있다.
범종은 현종 5년(1664)에 제작되었으며 종을 치는 자리에 일본 지도 비슷한 무늬가 그려져 있는데
이 종을 치면 일본이 망한다는 구전이 있다.
실상사 보광전의 아미타부처님
2008년 6월 6일 지리산 실상사 순례시 사진입니다
*************************************************************************************************
감사합니다 - 관오합장
'불교 > 불교관련 -관오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의 명칭 - 행정적인 명칭과 불교적인 명칭 (0) | 2015.03.25 |
---|---|
불유각(佛乳閣) 송자관음(送子觀音) (0) | 2015.01.08 |
화엄경의 계위와 십층탑 심삼층탑 (0) | 2013.04.09 |
영화 매트릭스의 불교적관점 고찰 - 관오 (0) | 2013.02.08 |
월정사와 봉녕사의 일체중생희견보살상(약왕보살상) 비교 (0) | 2010.11.08 |